티스토리
티스토리 카테고리에 다른 메뉴를 붙여보자
작은선물
2007. 2. 17. 13:14
계정 설치형이 아닌 티스토리 카테고리는 사용자가 수정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.
기존 카테고리를 이용해서 필요한 메뉴를 은근슬쩍 붙여서 사용해 보자.
스킨 사이드바 부분에 테이블을 하나 만들고
TD 2개를 포함한 TR을 필요한 갯수만큼 만들어서
<s_sidebar_element>
<!-- 카테고리 -->
<span style="cursor: pointer;">
</span>
<TABLE cellpadding=0 cellspacing=0 border=0>
<tr>
<td style="width:39px; font-size: 1px;">
기존 카테고리에 자동으로 적용되는 부분이다
<img src="http://fs.tistory.com/blog/image/tree/base/tab_top.gif" width="16">
분류전체보기 앞에 그림파일이다 "T" 자 모양의 것이다.
</td>
<td><a href="https://boonguh.tistory.com/m/"><font color=#CCFF66>처음으로</font></a></td>
원하는 메뉴를 연결한다
</tr>
<tr>
<td style="width:39px; font-size: 1px; background-image: url('http://fs.tistory.com/blog/image/tree/base/navi_back_noactive.gif')">
<img src="http://fs.tistory.com/blog/image/tree/base/tab_isleaf.gif" width="39" alt=""/></td>
점선으로 위 아래가 이어지고 책 모양의 아이콘이 보이는 부분이다.
시작하는 부분과 다른 것을 알 수 있다. 적용해 보면 쉽게 알 수 있는 부분
<td><a href="https://boonguh.tistory.com/m/location">위치로그보기</a></td>
</tr>
</table>
</s_sidebar_element>
이런 모습이 되게 만들면 그리 흉하지 않게 볼 수가 있다.
마지막 부분에는 TD 안의 background-image 부분은 삭제해야
있지도 않은 다음 메뉴와 이어지지 않는다
* 설명은 현재 사용하는 블로그 메뉴를 이용했습니다.^^
기존 카테고리를 이용해서 필요한 메뉴를 은근슬쩍 붙여서 사용해 보자.
스킨 사이드바 부분에 테이블을 하나 만들고
TD 2개를 포함한 TR을 필요한 갯수만큼 만들어서
<s_sidebar_element>
<!-- 카테고리 -->
<span style="cursor: pointer;">
|
<TABLE cellpadding=0 cellspacing=0 border=0>
<tr>
<td style="width:39px; font-size: 1px;">
기존 카테고리에 자동으로 적용되는 부분이다
<img src="http://fs.tistory.com/blog/image/tree/base/tab_top.gif" width="16">
분류전체보기 앞에 그림파일이다 "T" 자 모양의 것이다.
</td>
<td><a href="https://boonguh.tistory.com/m/"><font color=#CCFF66>처음으로</font></a></td>
원하는 메뉴를 연결한다
</tr>
<tr>
<td style="width:39px; font-size: 1px; background-image: url('http://fs.tistory.com/blog/image/tree/base/navi_back_noactive.gif')">
<img src="http://fs.tistory.com/blog/image/tree/base/tab_isleaf.gif" width="39" alt=""/></td>
점선으로 위 아래가 이어지고 책 모양의 아이콘이 보이는 부분이다.
시작하는 부분과 다른 것을 알 수 있다. 적용해 보면 쉽게 알 수 있는 부분
<td><a href="https://boonguh.tistory.com/m/location">위치로그보기</a></td>
</tr>
</table>
</s_sidebar_element>
이런 모습이 되게 만들면 그리 흉하지 않게 볼 수가 있다.
마지막 부분에는 TD 안의 background-image 부분은 삭제해야
있지도 않은 다음 메뉴와 이어지지 않는다
* 설명은 현재 사용하는 블로그 메뉴를 이용했습니다.^^